[힙합인문학] - '지금여기힙합' 발제문

728x90

송우현의 [힙합인문학]에서는 [랩인문학-장르 너머의 힙합] 수업의 강의안을 업로드 합니다. 힙합과 인문학을 엮어 다양한 질문들과 답을 모색해봅니다. 

 

 

지금 여기 힙합2017, <쇼미더머니6>로 한국에서 힙합이라는 장르가 가장 뜨거워졌을 시점에 나온 저널리즘 책이다. 저자는 힙합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을 짚어내고, 그에 대한 대중들과 힙합 커뮤니티, 평론가 등의 반응과 여론들을 정리해냈다.

 

인트로 : 왜 지금 힙합?

한국힙합을 흔히 국힙이라 부른다. 본토 힙합도 마찬가지이지만, 국힙은 꽤나 문제적이다. 한국힙합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먼저 힙합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힙합은 1970년대 가난과 폭력, 인종 차별에 시달리던 미국의 사회적 약자들이 자신의 삶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저항 정신을 표출하기 위해 개척한 문화이자 음악장르이다. 동시에 함께 모여 흥겹게 즐기는 파티문화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힙합을 미국에서 유행하는 세련된 문화로 인식했다. 다른 나라에서 유행하는 문화를 받아드리는 것 자체로는 문제될 게 없다. 하지만 힙합은 미국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이 깔린, 정확하게는 흑인들의, 흑인들에 의한, 흑인들을 위한 음악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마약과 범죄, 백인사회를 향한 거친 분노, 슬럼가에서의 절망적인 풍경 등을 랩으로 담았다. 갱스터들의 거침없는 태도, 폭력적인 면모를 포함해서 말이다.

그런 힙합이 미국 전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둔 이유로는 각박한 환경 속에서도 성공을 거둔 자수성가적 맥락과 자신의 삶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솔직함, 진정성 등을 이야기할 수 있다. 불우하고 힘들었던 어린 시절과 그 동네, 그러나 랩으로 성공한 지금의 나. 물질적으로 많은 것을 이뤄내고 그걸 자랑하고 있는 자신을 자랑스러워 이야기는 누구든지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찬 메시지와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한다.

하지만 힙합이 대중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떠오른다. 힙합음악의 가사가 마약, 범죄, 섹스, 소비주의적인 태도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힙합이 여성과 관계 맺는 부분은 크게 비판적이다. 그들이 성공의 서사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을 돈이나 보석같이 성공의 보상처럼 여기거나, 여성들에게 물질적 보상을 통해 사랑을 얻는다는 표현들은 여성주의적인 비판을 피해갈 수 없다.

나 또한 힙합의 자수성가적 맥락과 가사와 삶이 일치하는 진정성에 멋을 느껴서 시작했지만, 힙합에 대한 안 좋은 인식들을 보며 힙합이라는 타이틀을 버리게 되었고, 랩이라는 형식만 가져와서 음악을 만들었다. 실제로도 내가 추구하는 방향성이 폭력이거나, 여성혐오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힙합이 폭력적이고, 소비 주의적이고, 여성혐오적이라고 해서 무작정 검열하고 비판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 문제는 흑인들의 진정성 문제로 이어지는데, 빈민가의 흑인들의 문화를 재현하고,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주던 것이 곧 힙합음악이기 때문이다. 성공한 래퍼들이 물질적 보상을 이야기하며 ‘FLEX’ 하는 이유 또한 각박한 현실 속에서 자수성가를 이뤘다는 맥락을 드러내는 장치이다. 내가 힙합을 처음 좋아하게 되고, ‘있다고 느낀 부분들은 바로 이런 부분이었다. 그리고 내 음악 또한 이야기 하는 것은 조금 다를지언정, , 자수성가적인 메시지, 나의 진솔한 이야기, 긍정적인 에너지를 녹여내고 싶었다.

그렇기에 우리는 힙합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힙합은 어째서 폭력적이고 마초적이어야만 하는가? 힙합이 흑인들의 현실을 드러내주긴 하지만, 동시에 그들의 삶을 게토(빈민가), 마약, 범죄, 섹스 등으로만 제한해버리는 것은 아닌가? 어째서 그들의 자수성가적 맥락은 꼭 자본주의적(물질주의적) 성공으로써만 귀결되는가? 페미니즘이 노말이 된 현대사회 속에서 힙합을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봐야 하는가? 힙합에 대한 여러가지 비판들에 대해서 무작정 힙합은 원래 그런 것이라며 무시하거나, ‘내 음악은 힙합이 아니다라며 회피하는 게 정답이 될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 결론을 내리긴 이르다. 우리는 힙합에 대해서, 생각보다 잘 모르지 않는가? 힙합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지금과 같은 이미지를 갖게 되었는지, 결론적으로 나와 힙합은 어떤 관계를 맺어야할지 함께 공부해볼 필요가 있다.

 

Writings/송우현의 [힙합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성자
길드다(多)
작성일
2020. 9. 17.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