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가 읽은 [다른 이십대의 탄생] 이상익 - 서평

728x90

 

 

김고은, 김지원, 이동은과 나는 학교 친구였고, 동네 이웃이었고, 또 때로는 함께 일하는 동료였다. 길게는 15, 짧게는 5년을 그렇게 곁에서 함께 해왔다. 우리는 그간 자주 만나 술을 마셨고, 각자의 삶에 대해 이야기했고, 때로는 함께 공부하며 열을 내기도 했다. 그렇지만 나는 가끔 나와 그들이 무언가 다르다고 느꼈다.

 

나는 스무살이 되자마자 재수를 위해 기숙학원에 들어갔다. , 고등학교 친구였던 지원은 대학을 가지 않겠다며 아르바이트를 찾았다. 그렇게 기숙학원에서 1년을 버틴 나는 대학에 갔다. 아르바이트를 하며 1년을 버틴 지원은 군대에 갔다. 시간이 지나 나도 군대에 갔다. 내가 전역을 할 때쯤, 목수가 된 지원은 나에게 집을 구해 독립하자고 했다. 나는 기대와 달랐던 대학을 그만두기로 대뜸 결정했지만, 지원의 제안에는 쉽게 대답하지 못했다. 그리고 나는 새로운 학교에 들어갔다. 지원은 독립해 새로운 집에서의 삶을 시작했다.

 

길드다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학세미나

이후에도 나는 문탁네트워크에 자주 들락날락 거렸다. 재미있어 보이는 세미나가 있으면 참여했고, 문탁네트워크 아래에 있는 목공소에서 작업을 하기도 했다. 내 기억에 고은과 동은은 언제나 그 곳에 있었다. 동은은 어느 날에는 그림을 그리고 있었고, 또 어느 날에는 커피를 팔고 있었다. 고은은 자주 선생님들과 언성을 높이며 싸우고(?) 있었고, 항상 어딘가로 사라지곤 했다. 이 친구들은 어떻게 이 나이 많은 선생님들과 부대끼며 살고 있을까? 이 친구들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늘 궁금했다.

 

나는 그들과 달랐다. 디자인을 전공한 학교를 졸업하고 나는 자연스럽게 회사에 들어갔다. 당연한 말이지만 회사에서는 주로 회사가 원하는 일을 하고, 회사에서 원하는 디자인을 한다. 나는 가끔 회사에서 내가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자리에 앉아 멍하니 껍데기만 남아있는 나와 컴퓨터 속 내 작업을 본다. 나는 그럴 때면 이 회사에서 내가 더 있는게 앞으로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될지 생각했다. 만약 이 회사를 나간다면 어디서 돈을 벌어야 할지 계산했다.

 

어느 날 이 친구들은 <길드다>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인문학 공부를 하더니 그 공부로 돈을 벌겠다는 것이다. 내가 할 일이 없겠냐고 물었고, 그들은 나에게 일을 줬다. 이 친구들과 일하는 것은 회사에서의 그것과 달랐다. 이 친구들은 사소한 결정에도 모두가 달려들어 의견을 냈다. 나도 거기에 의견을 보태기도 하고, 내가 원하는 방향을 밀어붙이기도 했다. 우리는 계약서를 작성하고 일을 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일이 끝나고 나면 또 길고 치열한 회의 끝에 나에게 줄 돈을 책정했다. 일을 다 하고 얼마 받을지를 알게 된다니바깥의 논리로는 상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일을했다. 아무튼 이 친구들과 일할 때면 난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나는 어쩌면 안정적인(그렇게 안정적이진 않다) 월급을 받으며, 그들을 불안한 이십대라고 생각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는 그런 이십대 말이다. <다른 이십대의 탄생>은 그런 그들의 기록이다. 이 책을 읽고 나는 다시 생각한다. 무엇이 우리를 불안하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인지, 무엇이 우리를 20대라는 통념 안에 가두고 있었는지 말이다. 그들은 가구를 만들고, 그림을 그리고, 서로 싸우면서도 계속 함께 공부했다. 공부를 통해 그들은 불안한 미래 대신 현재를 산다. 현재의 고민들은 공부로 텍스트-컨텐츠가 되어 돌아온다. 그들은 서로 텍스트를 해석하고 해체하는 과정 속에 함께한다.

 

나는 아마 당분간 회사를 그만두지는 못할 것 같다. 하지만 나는 그들과 함께 공부하며 어떻게 함께 살아있을 수있을지 묻고 공부할 것이다. 특별한 답은 없겠지만, 이 다른 이십대들과 함께라면 답이 없는 과정도 텍스트-컨텐츠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작성자
길드다(多)
작성일
2019. 6. 4. 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