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습니다 ⑩] 그리고 도시가 태어났다 -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728x90

 

 

 

 

 

   글 : 차명식 (청년길드)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1.  

나와 아이들이 함께 수업한 문탁 네트워크는 용인 수지지구 동천동에 자리를 잡고 있다. 그 즈음에는 우리 집도 그 부근에 있었는데, 대충 13년 정도를 거기서 살았던 것 같다.

 

13년 전 내가 처음 동천동에 왔을 때에는 지금 들어선 건물들의 채 절반도 존재하지 않았다. 지금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자리에는 높은 철제 벽이 둘러쳐져 있었고, 얼핏 보이는 틈 사이로는 잡초가 무성한 황무지에 무너져가는 단독주택이 보였다. 해가 질 무렵이면 들개들이 그 폐가에 모여들어 울어댔기에 불안한 마음으로 그 옆을 지나야 했다.

그런가 하면 학교 가는 길에는 현대사 교과서에서나 볼법한 판잣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었다. 앙상한 널빤지를 밟고 개천을 건너면 나무판이며 각목을 얼기설기 엮어 세운 지붕 낮은 집들이 쭉 늘어섰다. 그 집들을 지나면 골프장 앞에 가로로 길쭉한 잿빛 컨테이너 박스가 하나 놓여있었는데 그게 이 동네의 성당이었다. 성당을 지나면 커다랗고 시커먼 버드나무가 음산하게 가지를 드리운 폐공장이 나왔고, 더 나아가면 양옆으로 수풀이 높게 우거진 비포장도로로 이어졌다. 그 좁은 길에는 변변한 가로등 하나 없어서 우리는 늘 여럿이서 모여 그 길을 지났다. 그러다 언젠가 밤에는 제일 뒤에 선 녀석이 무언가의 그림자를 보고 깜짝 놀라 꽥 비명을 지르고 앞으로 내달린 적이 있었는데, 그 바람에 앞서 가던 나머지도 죄다 혼비백산하는 바람에 다들 목이 터져라 비명을 지르며 달린 적도 있었다.

길 끝에는 버려진 컨테이너 박스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고, 벽에 때가 탄 낡은 단독주택들이 몇 채인가 보였다. 그 주변을 쏘다니던 흰색 똥개는 우리가 등교할 때마다 항상 길 복판에 기묘한 모양으로 똥을 싸질러놓곤 했는데 그래서 붙은 별명이 아티스트였다. 가끔 아티스트가 길 한 가운데서 라이브 공연을 할 때면 우리는 또 괴성을 지르며 그 옆을 뛰어 지나갔다. 그런 다음에 다섯 자매가 아니라 오씨 자매가 운영하는 오자매 슈퍼를 지나고, 다리를 건너고, 마을을 통과하고, 산길을 걸어 올라가야 학교가 나왔다.

그리고 지금, 그 모든 것들이 있던 자리에는 래미안 아파트와 자이 아파트, 새로 지은 상가들과 크게 닦인 도로들이 들어서 있다.

 

 

나는 가을 시즌의 첫 번째 수업을 그렇게 옛 이야기로 시작했다. 아이들은 반쯤은 호기심에 차고 반쯤은 의심하는 눈으로,하지만 다들 잔뜩 집중해서 내 말을 들었다. 오늘 자기들이 버스를 타고 지나온 그 풍경들이 불과 십 수 년 전에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존재했다는 사실이 퍽 흥미로웠던 모양이다. 녀석들 입장에서야 믿기 힘든 이야기라 해도 나에게는 아직 꽤 선명한 기억들이었고, 나는 그 기억들을 통해 녀석들에게 분명히 전하고픈 사실들이 있었다.

 

모든 것이 그러하듯 도시도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던 것은 아니라는 사실.

모든 도시들에게는 저마다의 태어난 사정이 있다는 사실.

대부분의 도시는 다투고, 추방하고, 빼앗고, 밀어내고, 갈라섬으로써 태어난다는 사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도시들도 그로부터 예외는 아니라는 사실.

 

바로 그것, 그 도시의 탄생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위해, 나는 몇 번째인지 모를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을 아이들 앞에 펼쳤다.

    

 

  

 

2.  

「천국에 사는 사람들은 지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우리 다섯 식구는 지옥에 살면서 천국을 생각했다. 단 하루도 천국을 생각해보지 않은 날이 없다. 하루하루의 생활이 지겨웠기 때문이다. 우리의 생활은 전쟁과 같았다. 우리는 그 전쟁에서 날마다 지기만 했다. 그런데도 어머니는 모든 것을 잘 참았다. 그러나 그날 아침 일만은 참기 어려웠던 것 같다.

“통장이 이걸 가져왔어요.”

내가 말했다. 어머니는 조각마루 끝에 앉아 아침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게 뭐냐?”

“철거 계고장예요.”

“기어코 왔구나!”

어머니가 말했다.

“그러니까 집을 헐라는 거지? 우리가 꼭 받아야 할 것 중의 하나가 이제 나온 셈이구나!」 (80-81p)

 

 

난쏘공에 대한 나의 첫 번째 기억은 이야기 첫머리부터 실린 철거계고장에 대한 것이다. 제목이 재미있어 보인다는 이유로 집은 책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낯선 언어에 일순 멍해졌던 기억이 난다. ‘재개발 사업’, ‘주택 개량 촉진에 관한 임시 조치법’, ‘건축법 제 5조 및 동법 제 42 등등, 난생 처음 접한 단어들이 감정이라곤 느껴지지 않는 차가운 문체 위에 놓여 있었다. 나는 그 말들이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한 채 책장을 넘겼고, 그 뒤로 이어지는 무디고 거친 대화들에 또 한 번 당황했다.

페이지를 계속 넘긴다고 해서 바뀌는 건 없었다. 말 그대로 읽기만 했을 뿐, 나는 결국 첫 번째 시도에서 이 책이 대체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 조금도 이해하지 못한 채 책을 덮었다. 나는 그러한 내 경험에 비추어 녀석들에게도 이 책이 매우 버거웠으리라고 생각했고, 실제로도 그랬다.

그 버거움은 어디로부터 온 것일까? 녀석들은 그 질문에도 쉬이 답하지 못했다.

 

“왜, 뭐가 이해하기 힘들었어?”

“그냥요!”

“전부 다요!”

 

아마 처음 난쏘공을 읽었을 때의 나도 비슷했던 것 같다. 특정한 지점들을 이해할 수 없는 게 아니라 상황 전체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모르는가를 대답할 수가 없는 것이다. 철거계고장이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 난쟁이 가족은 무얼 두려워하고 걱정하는지, 아파트에 들어갈 권리가 있다면서 못 들어간다는 건 또 뭔지,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다 알 수 없는 이야기들뿐이니까. 태어났을 때부터 아파트에서 살아온 아이들에게 아파트가 존재하기 이전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그만한 사전 설명이 필요하다.

나는 문제의 철거계고장을 한 번 더 들여다보는 데서부터 시작했다.

제일 위에는 낙원구라는 세 글자가 크게 박혀있다. 그 다음 줄은 주택번호로 시작한다. 나는 그 줄의 끝에서 읽기를 멈춘다.

거기에는 계고장의 발급날짜가 적혀있다.

 

197X. 9. 10

 

70년대. 아직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의 서울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나 역시 아파트에서 태어났고, 그 시절의 서울을 그저 상상만으로 떠올리기에는 상상력도 부족하다. 때문에 나는 부득이 몇 권의 책을 더 찾아봐야 했다. 그 중 하나가 한홍구의 특강이었다.

 

 

 

이 책의 3장은 불도저 김현옥 시장으로 대표되는 토건과 개발의 도시였던 60년대부터 70년대까지의 서울을 그려낸다. 1960년대 서울에서는 건설은 나의 종교라던 김현옥의 지휘 아래 서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판잣집들이 헐려나가고 그 자리를 지하도, 육교, 고가도로, 상가와 시민아파트들이 대체했다. 방한하는 미국의 존슨 대통령과 워커힐 호텔에 머무르는 외국 관광객들 등에게 너저분한 판잣집을 보여줄 수는 없다는 표면적인 이유와, 여러 공사들을 대통령의 치적으로 만들고 뒤로는 이윤을 남기려는 실질적인 이유가 있었다. 청와대에 있을 박정희에게 잘 보여야 한다며 산 위에 지어진 아파트들도 적지 않았다. 그 외에도 62년 마포 아파트, 68년 이촌동 한강맨션……판잣집들이 사라진 자리에 본격적으로 고급 아파트들이 차례로 들어서기 시작했고, 그 가운데 시간은 1970년대에 이르렀다.

70년대에 들어 마침내 강남 개발이 시작됐다. 허허벌판에 논밭뿐이던 강남에 하루가 지날 때마다 새 건물이 들어섰다. 신사동에는 대규모 카바레 단지가 조성됐다. 그 카바레들은 영동으로, 다시 압구정으로 퍼졌다. 지하철 2호선이 강남을 관통하게 되고, 명문고등학교인 경기, 서울, 휘문, 진명, 양정, 숙명여고가 강남으로 옮겨졌다. 이 무렵 중동에서 흘러든 오일머니는 투기 자금이 되었고, 독재정권-토건업체-개발공사가 이룬 카르텔은 서울의 부동산 가격을 폭발적으로 끌어올렸다. 돈푼깨나 쓰는 사람이면서 서울 부동산에 투자하지 않는 사람은 얼간이 취급을 받았다. 1975년 공사를 시작한 압구정 현대아파트를 필두로 아파트 광풍에도 더욱 불이 붙는다.

아파트의 공화국 서울은 그렇게 그들을 밀어낸 자리 위에 세워졌다. 그리고 본디 그 자리에서 살고 있던 수많은 난쟁이 가족들은 조용히 모습을 감췄다. 그들의 집은 강제로 헐려나갔다. 원한다면 그 자리에 들어설 아파트에 들어오라 하지만 판잣집에 살던 식구들에게 그럴 돈이 있을 리는 만무했다. 그들은 고된 몸을 이끌고 다른 동네로 떠나갔지만, 그 동네에도 다시 아파트가 들어섰다. 그럼 그들은 다시 떠나갔다. 그렇게 변두리로 쫓기기를 반복했다. 더 이상 떨어질 데 없을 가장자리까지.

 

「“살기가 너무 힘들다.”

아버지가 말했었다.

“그래서 달에 가 천문대 일을 보기로 했다. 내가 할 일은 망원 렌즈를 지키는 일야. 달에는 먼지가 없기 때문에 렌즈 소제 같은 것도 할 필요가 없지. 그래도 렌즈를 지켜야 할 사람은 필요하다.”

“아버지, 도대체 그런 일이 가능할 것 같아요?”」 (120p)

 

그렇기에 난장이는 달로 떠나야만 했던 것이다. 우리가 집에 가는 길에 어떤 판잣집들도 보이지 않게 된 것이다.

 

    

 

3.

 

한홍구의 도움을 받은 설명을 마친 뒤에도 아이들은 좀처럼 감을 잡지 못하는 표정들이었다. 무슨 이야기인지 이해는 했으되 여전히 자신들에게서 너무나 먼, 예전의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듯 했다.

나는 지금은 그래도 상관없다고 생각했다. 난쟁이의 이야기는 이번 가을동안 계속해서 하게 될 이야기의 시작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도시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아파트로 가득 찬 이 도시가 어떠한 경위로  누구를 쫓아내고,무엇을 헐어내고, 그리하여 무얼 얻고자 했는지  만들어졌는가를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그러한 까닭들은 절대로 그냥 사라지지 않고 사물의 존재방식 속에 그대로 남아 새겨진다.

60년대에서 70년대에 이르는 서울의 복마전은 서울의 사람들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투기 열풍은 오늘날까지도 벌어지고만 있는 계층의 양극화를 초래했고, 새롭게 들어선 아파트 건물들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생활양식을 만들어냈다.우리가 숨 쉬듯 자연스럽게 향유하고 있는 도시에서의 삶은 그로부터 비롯되었다.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 양쪽 모두에서 도시의 사람들은 완전히 갈라졌다.

녀석들이 달로 간 난장이와 자기들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다 느낄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그것은 손에 닿을만한 거리다.단지 너무나 익숙하기에 인지하지 못할 뿐, 기원을 알고 의심을 품기 시작하는 바로 그 순간부터 자신의 하루에 질문을 던지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물었을 것이고, 더러는 답을 얻고 더러는 잊었을 것이다.

난쏘공 78년부터 2007년까지 삼십 해 동안 백만 부가 팔렸다고 했다. 도시의 삶에 대해 품은 사람들의 의심은 적어도 그만큼은 이어졌단 뜻이리라. 그런 까닭에 나는 그 날 수업을 그쯤하고 마치기로 했다. 내 등굣길 판잣집에 살던 사람들은 과연 어디로 떠나갔을까를 생각하면서. NM

Writings/차명식의 <책 읽습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성자
길드다(多)
작성일
2019. 4. 29. 11:35